UNTAPPD 4.11 RB 3.79 ABV 11.9% Style White Stout

언제 사놓은건지 기억은 안나는데 냉장고 자리가 부족해서 꺼내서 마셨다. 화이트 스타우트가 예전에 잠깐 유행하다시피 화제가 됐다가 마셔보니 막상 별로라고 하길래 관심을 껐는데 어쩌다보니 냉장고에 들어가 있었다..^^ 

뽀할라는 잘 알려진 것처럼 에스토니아 브루어리이고 대표 맥주인 웨에는 밤이라는 뜻이다. Valge는 왈게인지 발게인지 모르겠으나 White라는 뜻.  화이트 스타우트는 white night 라는 역설처럼 스타우트지만 까맣지 않고 갈색을 띄는 스타우트를 말하는데 색을 내는 까만 몰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몰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화이트 스타우트라고 해서 라거처럼 색이 연하거나 심지어 화이트와인처럼 투명한 색일거라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브라운 에일정도의 적갈색을 띈다. 부재료로는 귀리맥아가 들어갔고 발게 웨에는 쉐리 배럴에서 에이징 되었다. PX라 붙은건 페드로 히메네즈 셰리 배럴에서 숙성되었기 때문인데 Pedro Ximenez, PX이고 포도 품종으로 단 맛이 강하다고 한다. PX 셰리가 진한 갈색이라 하는데 이 오크통에 숙성해서 색이 그런것이 아닌가 싶다. 

평이 구린것에 비해 개인적으로 만족하면서 마셨다. 평이 구린건 아마 스타우트라 이름 붙인것 때문에 맥덕들이 화난 것이 아닐까 싶다. 배럴 에이징으로 BA 특유의 오크향은 강하지만 임스랑은 느낌이 사실 좀 다르다. 커피향, 초콜릿향도 잘 모르겠고 귀리를 썼다곤 해도 바디도 가볍다. 그래서 덕분에 끝맛이 깔끔하게 떨어지는데 달긴 하지만 너무 무겁지 않아서 개인적으론 괜찮았다. 

물론 굳이 다시 사 마실것 같지는 않고 조금 심심한 느낌이 들긴 하다. 좋게 말하면 끝맛이 깥끔하고 나쁘게 말하면 끝이 비는 느낌이다. 

그나저나 왁스 벗기다가 살짝 피봤다. 간지 말고는 효용이 있는건지... 산소를 차단해주긴 하는건가? 




UNTAPPD 3.87/5 RB 3.21/5 ABV 7% IBU 57 Stlye NE IPA

무난한 NE IPA. 

추천은 안 함 

코로나도 병맥주 IPA를 맛있게 마셔서 고른건데 코로나도 병맥주 말고도 22주년 IPA랑 벨칭비버랑 콜라보한 투스앤 테일을 마셔본 적이 있었는지 몰랐다. 

 


딱 이 맥주를 마시고 싶었다기 보다는 NE IPA 마시고 싶어서 골랐다. 웨스트 코스트 IPA라고 코로나도에서 나온 맥주가 옆에 있었는데 아마 이거랑 같은 홉을 쓰고 이스트를 다르게 썼거나 드라이호핑을 하고 말고 차이에 따라 웨스트/이스트 스타일을 나눈 것 같다. 내가 고른건 이스트코스트 뉴잉스타일이다. 

생각없이 불투명한 잔에 따라서 헤이지했는데..^^ 아마 헤이지했을거다. 

 


맛은 뉴잉 느낌이 나긴 했는데 좀 물같았다. 워터리하다. 

비터가 민트처럼 화사하게 느껴진다는 점이 특이하다면 특이한 점이다. 

솔직히 말해 이거보단 미스터리브루잉 뉴잉이 더 맛있는거 같기도 하다. 

 


그래도 요새 맥주에 관심이 떨어지는 사건이 좀 있었는데 오랜만에 맥주 사마시니 예전 생각도 나고 좋았다. 

이 맥주는 굳이 추천하고 싶지는 않으나 웨스트 코스트 스타일 같이 사서 두 캔 비교시음 하는건 좀 재밌을듯 

 

RB 2.83/5 UNTAPPD 3.44/5 ABV 4.2% IBU 20 Stlye American Pale Wheat

 


지난번에 이어 구스아일랜드의 맥주인데 이번엔 위트에일이다. 

마셔보고 느낀 첫 인상은 바이젠 특유의 향이 약하고 대신 시트러스한 홉향이 난다는 것이었는데 찾아보니 american wheat ale의 특징이라고 한다. 

정향, 바나나향 등 스파이시함은 크게 느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라이트하면서 레몬 홉향도 살짝 느껴진다. 

 

 


개인적으로는 좀 묽게 느껴지긴 했는데 지난번 구스 IPA도 그렇고 브루어리 특징인것 같다. 

누군가에겐 밍밍하게 느껴지겠지만 반대로 부담없이 누구나 마시기 편한 스타일이다. 

 

원래 구스아일랜드가 이런 스타일의 맥주를 추구했을지 아니면 인수된 후 이런 스타일로 바뀐건지 궁금하다. 


개취로는 이 맥주보다는 차라리 구스IPA가 더 나은것 같다. 

가볍고 깔끔한 맥주를 찾는다면 괜찮을듯 

RB 3.53/5 UNTAPPD 3.5/5 IBU 55 ABV 5.9% Stlye IPA

 


AB Inbev에 인수된 구스아일랜드의 IPA이다.

 

예전에 유나이티드 에어라인 비행기 탔을 때도 구스아일랜드 맥주를 줬던 것 같은데 사실 그때 마셨을 때도, 한국에서 구스아일랜드 펍에서 마셨을 때도 맛있게 마신 기억은 없다.

 

그러다 어쩌다보니 병으로 마시게 되었는데 오랜만에 마신 구스IPA는 기억 속 맛보다는 훨씬 나았다.

 

Ratebeer 평점이 3.5점인데 딱 저 정도의 평점을 주고 싶은 맛이다.

 

향은 오렌지와 같은 시트러스 향이 나는데 비터도 강한 편이다. 

 

몰티함도 느껴진다.

 

 

 

브루클린 브루어리나 구스아일랜드같은 맥주들이 그러하듯 밸런스 잘 잡혀있는데 구스 IPA는 조금 밍밍한 느낌은 있다. 세션 아이피에이같다랄까.

 

아마 말도 안되는 IPA들만 마시다보니 상대적으로 평범한 IPA를 마시면 밍밍하게 느끼는게 아닌가도 싶다.

 

괜찮게 마셨지만 비슷한 느낌이 나는 브루클린 브루어리쪽이 더 맛있다. 

 

가격이 얼마인지는 기억이 안나는데 요새 국내 크래프트 브루어리 맥주도 IPA 정도는 잘 만들어서 3300원 이상으로 팔면 크게 메리트가 있진 않아 보인다. 

 

 

 

 

AB inbev에 인수되면서 더이상 구스아일랜드를 크래프트 브루어리로 여기지는 않는것 같은데 사실 매크로 브루어리가 지분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보다는 브랜드의 정체성과 맥주의 맛이 어떤지가 더 중요한 것 같다. 

 

돈이 되는 라인업만 남기고 대량 생산공정에 방해가 되는 레시피들을 수정하면서 맛까지 없애버리지만 않는다면 대기업의 인수를 나쁘게만 보기 어려운 일이다. 

 

똑같이 AB inbev에 인수된 핸드앤몰트에 대해서도 이런저런 말이 많던데 어떻게 흘러갈지 궁금하다. 

 

RB 3.84 UNTAPPD 3.8 IBU 50 ABV 7.4% Stlye 포터

 

무난한 모카 포터로 커피향이 향긋하나 역시 무난하다. 

 


저번에 템페스트브루잉 멕시케이크를 괜찮게 마셔서 템페스트 브루잉 맥주가 보이길래 집어왔다. 


레드 아이 플라이트라는 맥주인데 레드아이플라이트는 야간비행을 뜻한다고 한다. 

 

왜 이런 이름을 지었는지는 모르겠고 부재료로는 밀맥아, 귀리, 카카오, 커피빈 등이 들어갔다. 



7개의 맥아를 사용했다고 하는데 맥아 캐릭터가 특별히 튀는 느낌은 없다. 

초콜릿향, 커피향이 풍기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무난한 포터이다. 

 


바디는 미디엄 바디이고 달지도 드라이하지도 않다. 

포터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기에 그저 무난한 포터로만 느껴진 맥주이다. 

 


맛보다는 마신 후 끝에 커피향이 향긋한 것이 인상적이다. 

평점은 좋은 편이니 스타우트/포터를 좋아한다면 한번쯤 도전할만도.. 

RB UNTAPPD IBU 50 ABV 9.5% Style Belgian ale

 


듀벨 트리펠 홉은 원래 듀벨에 들어가는 두가지 홉인 Saaz-Saaz, Styrian Golding에 한 가지 홉을 더해 한정판으로 출시하는 맥주 시리즈이다. 

 


이번엔 캐시미어가 선정되어 출시됐다. 

 

캐시미어 홉은 그냥 핫한 홉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찾아보니 2013년에 출시된 홉으로 레몬, 라임, 멜론 향이 특징이며 부드러운 비터를 보여준다고 한다. 

 

 


사실 듀벨 트리펠이 싱글홉으로 드라이호핑 세번 했다는 뜻인줄 알고 캐시미어 캐릭터가 궁금해서 구매한건데..^^ 잘못알고있었다. 

 

 


뭐 어쨌거나 마셔보니 탄산이 강하고 홉 캐릭터는 생각보다 강하지 않다. 

멜론 등 달달하고 부드러운 과일의 향이 풍기긴 하지만 강하지 않다. 

전체적인 인상은 탄산이 강하며 낯선 쓴맛이 도드라지는 느낌이다. 

세종이 떠오를 정도로 효모취가 좀 느껴지는데 이유는 모르겠다.

또 여전히 이유는 모르지만 살짝 메탈릭하기도 하다. 

 

 

 



듀벨 마셔본지도 오래되었고 벨지안 스트롱 에일을 그다지 좋아하는 편도 아니라서(가성비가 좋지 않다고 생각) 내 입맛엔 그저그랬다. 

듀벨 맛이 기억이 나야 캐시미어가 얹어진 이 듀벨 트리펠 맛을 평할텐데 듀벨이 기억이 안남.. 

듀벨을 좋아하거나 리미트드 에디션 덕후들은 마셔보기를 추천한다. 


RB 3.93/5 UNTAPPD 4.06/5 IBU 70 ABV 11% Style Imperial Stout 


멕시칸 요리에서 영감을 받은 듣한 재미있는 임페리얼 스타우트이다. 

 

어디에서 집어왔는지 무슨 생각으로 산 건지 기억이 안 난다. 

 

살짝 취한 상태로 바틀샵 직원이 추천해주는 맥주 골라온 것 같다. 

 

 


템페스트 브루어리는 영국(스코트랜드) 브루어리로 이번에 처음 접해보는 브루어리이다. 

라벨부터 멕시칸 소울이 뿜뿜인데 부재료로는 귀리, 밀맥아, 바닐라빈, 코코아, 레드칠리, 시나몬 등이 들어갔다. 

 

배럴에이징을 한 것 같지는 않고 부재료에 귀리나 밀맥아 등이 들어갔다고 하니 진득하고  스파이시할 것 같은 느낌이다. 

 

 



향 부터가 초콜릿향이랑 칠리 향이 났는데 마시면 정말 칠리 향이 꽤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물론 카카오와 커피 향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스파이시함도 확실히 느껴진다. 

 

처음은 실키하고 끈적한 느낌인데 끝 맛은 깔끔하고 가볍다. 

 

끝맛에서도 스모키한 쌉싸름한 칠리 맛이 난다. 

 

끈적한 질감에 비해 단 맛은 적은 편이다. 

 


프레리 밤도 비슷한 스타일의 맥주라고 하는데 마셔본지 너무 오래돼서 기억이 잘 안난다. 

 

기억 속에선 스파이시함이 강하지 않았던것 같다. 

 

 


칠리가 들어간 임페리얼 스타우트를 쟁여 놓고 마시진 않고 재미로 한 번씩 마실텐데 그러기엔 추천할만한 맥주이다. 

 

배럴에이징을 하지 않아서인지 가격대가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고 칠리의 존재감도 확실하다. 

 


단 맛이 강하지 않아 조금 심심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덕분에 끝까지 질리지 않게 마실 수는 있다. 

 

부담스러운 느낌도 덜하다. 도수도 높은 편인데 알콜부즈는 없다. 

 

템페스트 브루어리 다른 맥주도 마셔보고 싶다.  

RB 3.44/5 UNTAPPD 3.55/5 ABV 5.5% IBU 40 Style ESB 

살아남은 맥주가 맛있는 맥주 

ESB는 Extra Special Bitter라는 뜻으로 Fuller's 브루어리의 대표 맥주 중 하나이다. 

 

개성있는 맥주를 좋아해서 영국 맥주들은 아무래도 우선순위에서 밀려 잘 구매하지 않았는데 ESB를 마셔본적이 없어 하나 집어 왔다. 

쓴 맛이 강조되고 붉은 빛이 도는 강한 영국식 에일을 묘사할 때 ESB라고 표현한다.  

 

ESB는 맥주 이름이지만 그 임팩트가 강해 맥주 스타일로도 불리는 것 같다.

색은 갈색 빛이 도는 적색이다. 맛은 확실히 맥주몰트의 맛이 강조되어있다. 

 

탄산은 강하지 않고 바디는 라이트-미디엄 정도이다.

 

 쌉싸름하면서도 끝 맛은 몰트 단맛이 느껴지는데 뒷맛은 깔끔하다. 

 


그동안 홉이 강조되어 있는 맥주나, 부재료가 특이한 맥주, 배럴 에이징한 맥주, 람빅 등을 찾아 마셨는데 이렇게 오랜만에 몰트가 강조된 깔끔한 맥주를 마시니 너무 맛있었다. 

 

양이 좀 적은거 아닌가 싶었는데 어차피 330ml이다. 

 

양이 적다고 느껴지는 맥주가 맛있는 맥주다. 

정작 영국에서는 우리나라처럼 라이트라거를 가장 많이 마실지는 모르겠으나 딱 영국 펍에서 팔 것 같은 맛의 맥주다.

(영국 펍에서 마셔본적은 없..) 

 


역시 맥주는 스타일이 다양해서 질리면 바로 다른 대안이 있어서 좋다. 

바틀샵에서 구매하긴 했는데 ESB도 이마트에서 파는지는 모르겠다. 

 

편의점에서 파는 맥주중에 비슷한 스타일을 찾아봐야겠다. 

 

국내에서 IPA보다 인기많을 스타일인것 같은데 IPA의 아성을 무너뜨릴수는 없겠지. 


 

RB 3.75/5 UNTAPPD 4.02/5 ABV 6.8% IBU N/A Style NE IPA 


맛있지만 무난한 뉴잉 IPA

더 브루어리의 사이드 프로젝트인 오프슛에서 나온 뉴잉인데 더 브루어리도 오프슛도 생소하다. 

병 라벨 디자인도 맥주 이름도 잘 뽑았다. 

데이비드 호크니 그림이 떠오르기도 하고 뉴잉이라면 릴렉스랑 어울리지 않을수가 없다. 

색은 헤이지하고 향은 열대과일향이 나지만 솔향도 나는 편이다. 

캔입일이 오래되지 않아서인지 탄산이 강한편이다.

 

밍밍함까지 느껴지는 다른 뉴잉과는 달리 끝맛은 살짝 씁쓸하다. 

물론 맛있긴 한데 요새 뉴잉이 워낙 많아서인지  딱 이 맥주만의 인상적인 부분이 없다. 

홉향도 전형적인 뉴잉 홉향이고 맛도 전형적이다. 

뉴잉치고 비터가 강한게 특징이라면 특징인데 그렇다고 밸런스가 막 좋다는 느낌은 아니다.

 

이정도 뉴잉이라면 국내 브루어리 뉴잉을 마셔도 될 것 같다.  

쥬스바나만 마셔봤는데 304 브루어리 팡팡 뉴잉 IPA도 마셔보고싶다.   

 

 

 

그나저나 이 맥주를 떠나서 요새 NE IPA를 정말 많이 접할 수 있는데 사실 이렇게까지 유행할 스타일인가 싶기는 하다. 

 

한 잔까지는 맛있지만 두 잔 이상 마시고 싶은 맥주인지는 잘 모르겠고 정확히 어떤 지점을 추구하는지도 모르겠다. 

 

쓴 맛 없이 쥬스같이 넘어가는 IPA를 추구하는 것인지 홉 캐릭터가 극대화된 맥주를 추구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씁쓸한 IPA의 반대에 있는 뉴잉글랜드 IPA라는 스타일 까지는 성공적이지만 그 카테고리 안에서 재생산되는 맥주에는 새로움이 없는것 같다. 

 

홉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는데 데일리로 마실만한 맥주도, 그렇다고 매 번 사 마실만큼 각 맥주가 개성있지도 않다. 

 

가끔 NE IPA가 땡길 때에는 사 마시겠지만 새로운 NE IPA가 나왔다고 매 번 사 마실것 같지는 않다. 

NE IPA에 질려서 브룻 IPA 스타일이 나온 것이 아닐까 싶은데 

 

브룻 IPA 마셔보고 싶다.  



 

UNTAPPD 4.05/5 RB 3.69/5 ABV 12.2% IBU 40 Stlye 임페리얼 스타우트 

맛있는데 달디단 임페리얼 스타우트, 거의 시럽이라 불러도 될 정도. 

 



브루독이랑 투올이 콜라보해서 만든 맥주이다. 

투올은 2010년에 두 명이 시작한 브루어리인데 항상 집시 브루어리라는 수식이 빠지지 않는다. 

자체 브루어리 없이 위탁양조만으로 맥주 생산을 시작했기 때문인데 

대규모 시설이 필요한 양조를 차고에서 스타트업 시작하듯 시작한 모습이 멋지다. 

스승이 미켈러의 미켈이라고 하는데 역시나 가장 빠른 성장에는 스승이 필요한것도 같다. 


부재료로는 귀리, 밀, 카카오, 유당 등이 들어갔다. 

부재료로만 보더라도 크리미하고 달달할것 같은데 따를때부터 점도가 느껴졌다. 

거품이 거의 생기지 않았고 커피향과 달달한 초콜릿향이 풍긴다. 

풀바디에 크리미한 질감인데 생각보다 엄청 달다. 

도수가 높긴 하지만 알콜도 꽤 느껴지는 편인데 달달함이 다 가려준다. 

밀크 스타우트 시럽이 아닐까 싶을정도로 달긴하지만 맛있다. 

한 병이 330ml인데 두 명이 나눠 마시면 딱 좋을것 같다. 

디저트로 생각하고 먹는게 나을듯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