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746638

 

위기의 국내 수제맥주, 점점 커지는 실적 손실…“종량세 안되면 문 닫을 판”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의 열기 속에 국내 시장에 뿌리내린 수제맥주(크래프트) 업체들이 최악의 경영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이미 1세대 수제맥주(하

www.etoday.co.kr

국내 수제맥주 2018년 실적을 리뷰하는 기사인데 생각보다 매출 규모가 낮다. 

 

요즘 화제가 되는 임블리 호박즙 매출액만 26억이라고 하는데(지난해 4월부터 판매이니 1년 매출로 봐도 될듯)

 

플래티넘 2018년 매출이 23억이다. 

 

이번 사건으로 임블리를 처음 들어보는 사람처럼 누군가에겐 카브루니 플래티넘이니 처음 들어보는 브랜드일거다.

 

주변만 보면 다 아이폰 쓰고 크래프트 맥주에 관심이 많아보이지만 표본 오류이다. 

 

아직 수제맥주 시장은 생각보다 정말 작아 보인다. 

 

 

 

더부스 콜드체인은 더부스의 맥주 수입 부문인데 더부스 전체의 적자폭이 생각보다 크다.

 
제주맥주, 플래티넘은 매출 성장세가 인상적이다. 

 
국내 맥주 점유율 1위인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 롯데주류의 영업이익을 비교해보면


맥주쪽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 수익이 급상승하는 구조인듯 싶다.

 
수제맥주 업체들이 마케팅비에 돈을 태우는 이유도 그 때문인것 같은데


가정용 맥주에서 다양한 맥주에대한 수요는 늘겠지만


4캔에 만 원 이하로 떨어진 수입맥주보다 국산수제맥주를 살 유인이 있나싶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19/2019041900055.html

 

못찾겠다, 국산 맥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센터(SFC) 지하 2층에 있는 한 편의점은 지난달 초부터 아사히·칭타오·기네스 등 수입 맥주 4캔을 평일 퇴근 시간인 오후..

biz.chosun.com

4캔에 만원이던 수입맥주가 이제는 만 원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는 기사이다. 

 

4캔에 8,800원에 팔고 있다는데 이정도 가격이면 슈퍼에서 사는 국산맥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굉장히 안정적이면서도 경쟁이 치열한 산업이다.  


수제맥주는 시장의 크기에 충분히 커지기 전에 너무 핫해져버린것 같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다.  


지금이 거품이라도 나쁠건 없고 거품이 꺼지더라도 진짜들은 남게 돼있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7149884

 

한국 수제맥주 '더부스' 미국서만 생산

미국에 진출한 한국 토종 수제맥주 브랜드 '더부스(THE BOOTH·사진)'가 한국 양조장을 폐쇄하고 미국에서만 맥주 제품을 생산키로 해 주목된다. '더부스'의 김희윤 대표는

www.koreadaily.com

더부스가 미국 양조장을 인수하고 몇 가지 맥주를 미국에서 생산해 들여오더니 아예 미국생산으로 갈피를 정한 모양이다. 크래프트 맥주 본고장이다보니 각종 재료수급 등에 있어 유리한 면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가장 큰 이유는 세금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현재 맥주는 가격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종가세를 따르고 있는데 이때 기준이 되는 가격(과세표준)이 수입맥주와 국산맥주가 다르다. 

 

수입맥주는 수입사가 신고한 수입신고가(원가)+관세가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되지만 국산맥주의 경우 원가+판관비+이윤이 세금 부과의 기준이 된다. 

 

주세에 교육세와 부가세가 붙으면 세금만 원가에 113%가 되기 때문에 수입맥주와 국산맥주의 세금 차이가 꽤 생기게 된다. 

 

현행 종가세 체제를 종량세로 바꾸면 가격에 따라 매겨지던 세금이 양에 따라 매겨지게 된다. 즉 수입맥주와 국산맥주의 세금 부과 차이가 없어지게 된다. 

 

더군다나 종가세는 원가에 따라 세금이 늘어나는 구조로 상대적으로 고가의 원료를 사용한 크래프트맥주에 세금이 더 부과되는 구조였는데 종량세 하에서는 저가 맥주와 고가 맥주의 세금이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저가 맥주의 세금이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되기 때문에 4캔에 만 원의 프로모션이 없어진다고 보기도 하는데 이는 과도한 우려로 보인다. 

 

일부 품목의 조정이 오겠지만 4캔에 만 원 프로모션 자체가 없어지진 않을 것이다. 4캔의 프로모션 자체가 엄청나게 마케팅이 잘 된 하나의 상품인데 이를 쉽게 버릴리가 없다. 

 

오히려 하나같이 똑같은 편의점 맥주 구성의 변화가 올 것이며 다양한 브루어리들의 국내 공장 진출 기대한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세금 체계가 바뀐다고 당장 소비자한테 별 영향 없을 가능성이 크고 천천히 업자들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바뀌어 나갈거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국내 브루어리들이 해외에 얼마나 공장을 짓고 진출할지는 모르겠지만 정부에게 세제개편의 압박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정부가 항상 강조하는 일자리 창출을 떠나서 종이쪼가리도 아니고 액체를 세금때문에 해외에서 국내로 수입해오는게 얼마나 큰 낭비인가 

 

 

https://www.mk.co.kr/news/view/business/2019/03/161136/


스타벅스를 주로 이용하고 투썸은 간혹가다 한 번 가서 몰랐는데 투썸도 스타벅스와 같이 앱을 운영하고 있었다. 


투썸오더라는 이름인데 그동안은 사이렌오더기능(앱으로 매장 근처에서 미리 매장에 주문/결제 하고 픽업하는 방식)이 지원되지 않다가 근래에 추가된듯 하다. 


일정 포인트에 따라 멤버쉽도 운영하고 각종 이벤트도 앱으로 진행하고 CJ one 포인트도 같이 적립되는 모양인데 투썸을 자주 애용하는 사람에게는 편리해보인다. 


다만 나같은 간헐적 투썸 이용자에게는 진입장벽이 높은 부분이 있는데 바로 결제 부분이다. 스타벅스처럼 돈을 충전해 놓고 써야된다. 자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불편함이 없지만 간혹가다 쓰기 때문에 돈을 충전해놓고 쓰기는 번거롭다. 


일행이 있을때 쓰기에도 애매하다. 


개인간 기프티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팔라고, 기프티스타 등)도 많아져 가격면에서는 앱을 쓰는게 그다지 장점이 없다. 편리함과 멤버십 제도가 앱까지 써가며 충성고객으로 카페를 소비하는 이유인듯 싶다. 


스타벅스에 대항하는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 중에 그나마 존재감 있는게 투썸이나 커피빈이 아닐까 싶은데 투썸오더 앱을 들어가 구경해보니 스타벅스 앱과 비교해 별다른 기능이 없어 아쉽기도 하고 이제라도 고객 편의를 신경써 업데이트 하는게 다행인가 싶기도 하다. 


블루보틀이 유행하면 또 블루보틀 컨셉(로스팅 후 단기간 내 원두 소비, 핸드드립 위주, 스페셜티 원두 등) 따라 생기는 국내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있을텐데 그제서야 생기는게 아쉬울지 그때라도 생기는게 다행일지 모르겠다. 

http://www.dailygrid.net/news/articleView.html?idxno=124828


브롱스도 이제 자체 브루어리에서 맥주를 양조하기 시작한다. 포천에 와이브루어리를 준공했다는 기사이다. 


더부스가 피자랑 맥주 한 잔 하기 좋은 대중적인 펍이라고 생각했는데 브롱스는 더부스보다 조금 더 대중적이다. 


새로나온맥주를 마시기 위해 펍을 찾는 마지노선이 더부스이고 브롱스는 봉구비어는 싫은데 가볍게 한 잔 하고 싶을때 찾게되는 곳이다. 


그동안했던 위탁양조에서 자체양조로 바뀌면서 비용이나 유통의 효율화는 이룰수 있겠지만 맛이 더 나아질지는 모르는 일이다. 


아무쪼록 곧 안정화시켜 맛있는 맥주의 대중화를 이끌었으면 좋겠다. 

데일리샷은 월 정액(9900원)을 내면 제휴된 술집에서 매일 한잔 씩 공짜로 마실 수 있는 서비스이다. 월 9.99달러를 내고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후치의 사업모델을 참고하여 한국에서 시작한 것인데 잘 안될것이라는 내 예상과는 달리 꽤 순항중인것 같다. 


한 잔만 마시고 나오는 체리피커들 때문에 매장 제휴가 힘들지 않을까 했는데 이번에 홈페이지 들어가서 살펴보니 추가주문을 꼭 해야된다고 한다. 동행인이 마시는것과는 상관 없이 본인이 무료로 한잔을 마신다면 추가로 주문을 해야한다. 이런 조항이 들어가면 펍 입장에서는 체리피커들을 막을 수 있고 나름의 홍보효과도 얻을수 있으니 제휴에 부담이 덜하다. 재미있는 조항이 하나 더 있는데 하루의 리셋 기준을 정오로 잡은 점이다. 술집 특성상 밤 12시 넘어서까지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11시에 들어가서 한 잔 마시고 12넘어서 한 잔 더 무료로 마시려는 사람들을 막으려는(비용보다는 바쁜시간대에 매장에서 혼잡 방지가 목적이 아닐까 싶지만) 조항인데 머리를 잘 썼다. 


한 달에 두 번만 마셔도 이득이라지만 나는 결제를 하지 않았다. 아무리 생각해도 사용할만한 순간이 떠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3인이상이 술을 마시러 가서 나만 한 잔 무료로 마시기도 뭐하고 둘이나 혼자 간다 하더라도 매번 같은 매장에서 할인을 받아 결제하기가 민망하다. 주인이 아니라 아르바이트생이 주로 계산을 하는 매장이라면 부담없이 쓸 수 있을것 같은데 주인이 운영하는 매장이라면 매번 쿠폰으로 결제하기 민망하다. 2명이 모두 데일리샷을 사용중일 때 눈치 보이지 않는 매장에서 사용한다면 쓸모있을것 같은데 이때 문제는 제휴매장의 수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는 제휴매장과 서비스 이용자 수가 늘면 해결된다. 사용자 증가에 걸림돌이 되는 이유가 사용자 부족이라니 참 어려운 문제이다. 하지만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 비지니스모델이기 때문에 잘 헤쳐나갈수 있을것도 같다. 아직까지는 존재감이 다소 미약하지만 차근차근 사용자를 모은다면 재미있는 일들을 많이 시도해볼 수 있을것 같다. 그때가 되면 써보고 싶다. 

http://www.zdnet.co.kr/view/?no=20190220100116


공유주방 '고스트키친'이 21억원 투자유치를 했다는 기사이다. 


공유 주방은 성공할 것 같다는게 내 생각이다. 현재는 오프라인 식당의 음식을 배달대행업체가 배달해주는데 그치고 있지만 배달음식은 배달용 음식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짜장면이 배달음식으로 주로 팔린다는 이유로 쫄깃한 면발을 위해 식소다를 첨가하지만 이렇게 쫄깃하다 못해 질긴 면발을 매장에서 먹을 필요는 없다. 오프라인 맛집의 음식을 배달로 집에서 편하게 먹자라는게 배달대행 업체들의 마케팅이지만 매장에서 먹을때나 맛집이지 배달한 순간 흔한 배달음식이 되는 음식들도 많다. 


공유주방 스타트업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지만 아직 홍보 자료등이 부족해 각 업체마다의 강점은 잘 모르겠다. 하지만 그냥 단순히 공간만 제공한다고 살아남을거라 보지는 않는다. 배달전문업체 역시 단점은 있다. 오프라인 매장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가 매장을 인식하기도 어렵고 음식을 체험하기도 어렵다. 또 위에 언급한것처럼 배달전문 업체는 기존 조리의 문법이 아닌 새로운 문법으로 요리를 만들어야 할텐데 이에 대한 시행착오도 걸림돌이다. 


테라스 있는 식당과 배달음식으로 외식업은 나뉘지 않을까 싶다.

블루보틀은 성수동과 삼청동에 19년 2분기 내 오픈 예정


점보씨푸드는 디딤과 점보그룹이 JV를 맺고 올 상반기 내 도곡동 근처에 국내진출 예정


쩐주단은 대만 밀크티, 올 3월 부산 남포동 한국 1호점을 시작으로 홍대1호점, 2호점으로 매장을 늘릴 예정



https://news.joins.com/article/23387454?cloc=rss|news|total_list


이마트24 편의점에 주류전문매장을 도입한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맥주를 좋아하기 때문에 신세계가 주류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는데 아직 이마트24주류매장을 보진 못했지만 어느정도 가능성이 있어보인다. 삐에로쇼핑부터 와인앤모어나 이마트까지 (보관이 좀 아쉽지만)맥주 라인업이 타사대비 빵빵했는데 이마트24에는 어떤 맥주를 가져다 놓을지 궁금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지만 수익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무인 편의점 등 이마트24에 이런저런 시도를 하긴 하는데 노브랜드 상품 철수나 미니스톱 인수 불투명 등 악재가 많다. F&B에 강점이 있는 신세계가 미니스톱을 인수했으면 좋겠으나 시장은 그렇게 보지 않는것 같다.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69830


귀리우유와 콩고기 등 식물성 단백질 제품이 부상하고 있다는 기사이다. 우유 소비가 줄고 귀리우유등 대체우유 시장이 성장한다고 하지만 딱히 체감되지는 않는다. 우유소비는 아마 학교단체급식용 우유 수요 감소로 전체적인 감소세에 있는듯 싶다. 애초에 흰우유마시는 사람은 많지 않았고 라떼나 아이스크림으로 주로 소비하는데 귀리우유가 흰우유 시장을 대체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유당불내증이 있다면 솔깃할것 같기도 하다. 랩노쉬로 유명한 이그니스가 제품을 나름 잘 뽑아내는것 같으니 마시는오트는 기회되면 마셔봐야겠다. 


CJ제일제당이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식물성고기사업을 준비중이라고 하는데 아마 시장을 선도하는 스타트업들이 시장성을 증명한 후 진입하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놀라운건 사람이 화성가는 일처럼 멀게만 느껴졌던 식물성 고기를 실제로 먹어볼 날이 멀지 않았다는 점이다. 동원F&B가 비욘드미트랑 계약을 했다는데 아마 조만간 먹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교촌치킨도 BBQ와 BHC에 이어 돼지고기 전문점을 런칭했다고 한다. 창고43은 알고 있었는데 BHC가 운영하는지는 몰랐다.(그램그램도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BBQ역시 돼지고기 전문점을 운영하는 사실은 모르고 있었는데 2015년에 소신275라는 돼지고기 전문점을 런칭하고 운영중이다. 


요즘들어 변별력이 없던 돼지고기 구이 시장에서 차이를 두려는 시도가 이어지는것 같다.  


1. 같이 페어링할 주류 라인업을 늘리는 법(막걸리 라인업이나 국내소주, 크래프트 비어 등)


2. 명이나물이나 와사비같은 밑반찬을 간소화, 고급화 


3. 6개월만에 출하하는 3원교잡종이 아닌 버크셔나 이베리코와 같은 돼지의 품종을 사용


4. 이미 일반화된 구워주는 서비스


5. 소고기에나 사용되던 숙성법을 이용하는 방법


간단하게만 생각해봐도 이정도가 떠오른다. 치킨업계가 돼지고기 구이 전문점을 런칭할때에는 그동안의 노하우를 살려 배달전문점으로 시작하지 않을까 했는데 숙성육을 중심으로 둔 매장을 운영하는게 의외다. 


물론 배달만 하는 작은 치킨집이 아닌 해외진출도 이루어 낸 프랜차이즈이지만 이미 포화상태로 보이는 돼지고기 구이 전문점에서 어떤 기회를 보고 진출하는건지 궁금하다. 위에서 언급한 5가지 변별력을 두는 방법의 단점은 모두 가격이 올라간다는 점이다. 


가격이 내려가는 방법으로 생각나는건 냉동삼겹살밖에 없다. 닭고기가 대부분 대기업(하림 등)에서 생산되는 것처럼 돼지고기 역시 가격 하락을 견디지 못하고 대기업에 흡수되는 과정을 거칠것 같다. 그렇게 된다면 결국 가격이 떨어지고 그때 치킨과 같은 대중화를 노리는걸까?


어쨌든 흥미로운 현상이다. 


관련기사: http://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834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