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APPD 4.02/5 RB 3.80/5 ABV 11.5% IBU 45 Style Imperial Stout

 



냉장고에 있던 뽀할라 임스인데 이 술을 마지막으로 당분간 절주를 시작하기로 했다. 

 

뽀할라 로이츠는 메밀을 사용한 임스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나름 꽤 특이한 맥주였다. 

 

 


부재료로 메밀이 8%나 들어갔다고 하고 호밀맥아도 들어갔다. 

 

꿀도 들어갔다고 하는데 메밀꿀이라고 하는걸 보니 메밀꽃에서 채취한 꿀인 것 같다. 

 

버번배럴과 스카치 위스키 배럴에 두 번 숙성되었다고 한다. 

 

 


버번위스키랑 스카치 위스키 차이를 궁금해서 찾아봤다.

 

버번위스키는 옥수수가 51%이상 들어가야하며 반드시 불에 태운 새 오크통을 사용해야 한다고 한다. 

 

그에 비해 스카치 위스키는 중고 오크통을 사용해도 되고 최소숙성연한이 있다고 한다. 

 

 



위스키를 잘 몰라서 하는 소리지만 비슷해보이는데 굳이 왜 2번씩이나 배럴 에이징을 한 것인지는 의문이다. 


어쩄든 맛은 스모크 향이 강하게 나는데 생각보다 바디는 무겁지 않고 가볍다. 

 

피트로 훈연한 몰트를 사용했다고 하는데 그래서인지 훈연향이 강한것이 아무래도 특징이다.  

 

오크향도 나는데 이건 BA 임스면 다 나는 것이니 특이점이라고 할 건 없고 메밀은 사실 잘 모르겠다. 

 

평양냉면도 아니고 이렇게 강한 향들이 넘실대는 맥주에서 메밀향 찾기는 무리이다. 

 

 


맛있게 마셨지만 사실 또 사서 마실 것 같진 않다. 

 

그래도 컨셉 하나는 확실한듯싶다. 

 

메밀, 메밀꿀, 피트훈연, 배럴에이징 2번 등등.. 

 

UNTAPPD 4.11 RB 3.79 ABV 11.9% Style White Stout

언제 사놓은건지 기억은 안나는데 냉장고 자리가 부족해서 꺼내서 마셨다. 화이트 스타우트가 예전에 잠깐 유행하다시피 화제가 됐다가 마셔보니 막상 별로라고 하길래 관심을 껐는데 어쩌다보니 냉장고에 들어가 있었다..^^ 

뽀할라는 잘 알려진 것처럼 에스토니아 브루어리이고 대표 맥주인 웨에는 밤이라는 뜻이다. Valge는 왈게인지 발게인지 모르겠으나 White라는 뜻.  화이트 스타우트는 white night 라는 역설처럼 스타우트지만 까맣지 않고 갈색을 띄는 스타우트를 말하는데 색을 내는 까만 몰트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몰트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화이트 스타우트라고 해서 라거처럼 색이 연하거나 심지어 화이트와인처럼 투명한 색일거라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브라운 에일정도의 적갈색을 띈다. 부재료로는 귀리맥아가 들어갔고 발게 웨에는 쉐리 배럴에서 에이징 되었다. PX라 붙은건 페드로 히메네즈 셰리 배럴에서 숙성되었기 때문인데 Pedro Ximenez, PX이고 포도 품종으로 단 맛이 강하다고 한다. PX 셰리가 진한 갈색이라 하는데 이 오크통에 숙성해서 색이 그런것이 아닌가 싶다. 

평이 구린것에 비해 개인적으로 만족하면서 마셨다. 평이 구린건 아마 스타우트라 이름 붙인것 때문에 맥덕들이 화난 것이 아닐까 싶다. 배럴 에이징으로 BA 특유의 오크향은 강하지만 임스랑은 느낌이 사실 좀 다르다. 커피향, 초콜릿향도 잘 모르겠고 귀리를 썼다곤 해도 바디도 가볍다. 그래서 덕분에 끝맛이 깔끔하게 떨어지는데 달긴 하지만 너무 무겁지 않아서 개인적으론 괜찮았다. 

물론 굳이 다시 사 마실것 같지는 않고 조금 심심한 느낌이 들긴 하다. 좋게 말하면 끝맛이 깥끔하고 나쁘게 말하면 끝이 비는 느낌이다. 

그나저나 왁스 벗기다가 살짝 피봤다. 간지 말고는 효용이 있는건지... 산소를 차단해주긴 하는건가? 



UNTAPPD 4.18/5 RB 4.04/5 Style 임페리얼 스타우트 ABV 12.5% IBU 60

 


부재료로 코코넛, 커피, 귀리맥아, 호밀맥아가 들어간 임페리얼 스타우트이다. 

마셔보기 전에 귀리맥아, 호밀맥아 들어갔으니 진득할 것이고, 커피향에 코코넛 향이 나는 임페리얼 스타우트겠거니 햇는데 잔에 따를 때부터 커피향이 강하다. 

 


코코넛향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데 다행이 코코뱅어에서는 코코넛향은 강하지 않다. 은은하게 좋은 편이고 오히려 커피향이 강한데 커피향도 캔커피같은 향이 나는 다른 스타우트와는 달리 향긋하니 좋은 편이다. 

 


예상대로 바디는 좀 있는 편이지만 생각보다는 무겁지 않다. 

가격이 만 원 정도인데 이가격대에 이정도면 충분히 만족스럽다. 

 


단점이라면 단 맛이 강해서 좀 튄다는 점과 코코넛향이 너어무 은은하다는 점인데 향은 좋다. 

국내 맥주도 맛있는 맥주들이 많지만 임페리얼 스타우트는 여전히 수입맥주가 더 나은것 같다. 

 


좀 달긴 하지만 만 원에 커피향 좋은 임스를 마시고 싶다면 추천



RB 3.49/5 UNTAPPD 3.73/5 IBU 25 ABV 10% Stlye 세종


상큼한 과일향이 나는 묵직한 세종. 한 번쯤은 마셔볼만 


뽀할라 셀러시리즈의 욜로인데 울로라고 읽는것 같기도 하지만 라벨에 욜로라고 써있으니 욜로인가보다. 샤르도네 배럴에 에이징하고 구스베리가 첨가된 세종이라고 한다. 구매한지는 꽤 됐는데 어쩌다보니 구석에서 방치되어 있다가 이제서야 마셨다. 


세종답게 쿰쿰한 향이 풍기면서도 새콤한 과일향도 같이 난다. 구스베리가 첨가되어 그런지 산미가 강한 과일맛이 느껴지고 샤르도네 품종까지는 몰라도 와인향이 살짝 느껴지기도 한다. 도수가 10%인데도 불구하고 전혀 알콜이 느껴지지 않고 잔잔한 탄산과 함께 음용감도 좋다. 밀맥아, 귀리맥아, 스펠트 밀맥아 등이 들어갔는데 스펠트밀은 단백질 함량이 보통 밀보다 높은 밀품종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맥주 질감을 위해 신경을 많이 쓴 것 같다. 


확실히 처음 마셔보는 복합적인 향과 맛이긴 하고 질감과 음용감이 좋긴한데 이 가격에 또 사서 마실지는 모르겠다. 배럴에이징을 해서 가격이 높아졌겠지만 배럴에이징이 이 맥주의 매력에 큰 영향을 끼쳤는지는 잘 모르겠다. 가격이 기억은 안나지만 왁스발린 맥주중에 싼 맥주는 없었다..^^ 


확실히 재미있는 맥주인건 맞지만 한국에서 또 사마시진 않을 것 같다. 에스토니아 살았으면 더 사 마셨을텐데 아쉽다. 



RB 3.58/5 UNTAPPD 3.82/5 IBU 40 ABV 11.4% Stlye 발리와인


과일향, 오크향의 몰티한 발리 와인.  오크향이 독특하긴 한데 재구매는 안할듯


뽀할라에서 셀러시리즈로 나온 발리와인이다. 발리와인은 고도수의 진한 캐릭터의 에일이다. 그럼 올드에일이랑 같은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찾아봤는데 견해가 분분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같은 스타일으로 보인다. 올드에일이라는 스타일 자체가 마일드 에일 VS 올드 에일의 대립된 개념에서 파생된 것 같다. 마일드 에일(mild ale)이 양조되지 얼마되지 않은 신선한 에일을 뜻하는 개념이라면 올드에일(old ale)은 숙성된, 말그대로 오래된 에일이라는 개념이다. 약한 스타일의(저도수의) 맥주를 오래 숙성시키다 보면 산패하기 마련이고 자연스럽게 숙성 가능한 에일은 강한 스타일(고도수의)의 에일이기 때문에 올드에일은 강한스타일의 몰티한 캐릭터가 된것이라고 한다. 그런 올드에일이 스타일로 자리잡다 보니 올드에일=보통 배럴에 숙성시킨 산도가 높은 고도수의 에일 이라는 개념이 자리잡게 된 것 같다. 발리와인도 찾아보면 올드에일과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이쯤 해두고 나중에 궁금하면 더 찾아봐야겠다. 


셀러 시리즈 중에서 왜 이 맥주를 집어온지는 기억이 안나는데 개인적으로 발리와인을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다. 노란 왁스가 이뻐서 집어온건가? 저거 벗기다 병 흔들어서 새고 난리났다. 왁스 딱딱한건 벗겨내야돼서 귀찮고 물렁한건 오프너에 들러붙어서 귀찮다. 알마냑과 올로로소 배럴에 숙성시켰다고 한다. 알마냑은 브랜디고 올로로소가 뭔가 찾아봣더니 쉐리와인의 대표적인 스타일이라고 한다. 캐러멜 향과 견과류 향이 난다고 하고 발리와인이랑 어울리지 않을 수가 없을것 같다만 올로로소를 마셔본 적도 없고 쉐리와인을 마셔본 적도 없어서 좀 아쉬웠다. 셰리와인은 일반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한 와인인데 와인 발효중에 브랜디를 첨가해 달달한 포트와인에 비해 발효가 끝난 와인에 브랜디를 첨가해 드라이한 편이라고 한다. 


향은 달달향 과일향이 기분좋게 난다. 마시면 몰티함, 카라멜향, 검붉은 과일, 나무향 등이 감지된다. 달긴 한데 생각보다 달지는 않고 쉐리배럴이라서 그런지 과일향이 더 풍부한 느낌이고 오크향이 버번배럴 에이징과는 달리 독특하다. 보통 이런 스타일이 끈적하고 풀바디인데 이 맥주는 미디엄 바디에 끈적하다는 느낌은 없이 깔끔한 편이다. 알마냑, 쉐리배럴 에이징인데 쉐리와인을 마셔본적이 없어 그 향을 모르는게 좀 아쉽긴 하다. 스트롱 에일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 만족도는 살짝 떨어졌으나 맛 자체는 맛있게 마셨다.  

RB 3.97/5 BA 4.51/5 ABV 12.3% IBU 40 Stlye 발틱 포터


셀러 시리즈는 뽀할라에서 다양한 배럴에이징을 시도하는 맥주 시리즈인데(버번, 꼬냑, 쉐리, 데낄라 등) 이번에 마신 사잔드라고 부르고싶은 사얀드는 호밀이 들어간 발틱포터를 꼬냑 배럴, 버번 배럴에서 바나 탈린이라는 에스토니아 리큐르에 적신 오크큐브를 넣고 숙성시킨 맥주라고 한다. 에스토니아 독립 100주년을 기념해 양조한 맥주라고 한다. Sajand가 에스토니아어로 세기(century)라 하는데 그래서 그런듯. 누가 저런 스토리를 듣고 맥주를 사나 싶겠지만 꼬냑, 버번, 바나 탈린 이야기를 듣고 적지 않은 가격임에도 사버렸다.^^ 


첫향은 달콤한 과일향이 난다. 위스키는 어느정도 마셔봐서 버번배럴 캐릭터는 무엇인지 알지만 꼬냑은 한 두번 마셔본게 다이고 바나 탈린은 무엇.. 아마 달콤한 알싸한 과일향이 꼬냑과 바나탈린 캐릭터에서 온 것이 아닐까 싶다. 버번배럴 느낌만 났다면 실망할뻔 했는데 확실히 다른 느낌은 난다. 그 외 초콜릿, 커피 향 등 임스 캐릭터도 유효하다. 살짝 새콤하고 상큼한 느낌이 있어서 매우 달지만 질리지 않게 마실 수 있었다. 목넘김은 부드러운 편. 


개인적으로는 맛있게 먹었으나 이게 반절쯤 마시다보면 새롭게 다가왔던 향들이 희미해지고 익숙한 임스맛만 남는다. 2~3명이 쉐어하면 누구코에 붙이나 싶겠지만 저렇게 해야 가장 맛있게 마실 수 있을듯.  


셀러 시리즈라 그런지 Best Before 2118년인데 내가 그때까지 참을 수 있을리가^^ 사고 한 달 정도 있다가 마신 것 같다. 맥주는 냉장보관이지! 하다가 냉장고 좁다고 더 빨리 마시게 되는 것 같다. 흠 왁스 까기만 귀찮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