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녀온지는 한참 되어서 지금도 트레 레체를 파는지는 모르겠는데 팔지 않을까라는 마음에 남겨본다. 개인 기록용으로 남기는 것이기도 하지만 블로그 사용 연령층이 높아지면서 크래프트 맥주 관련 내용을 블로그에 올리면 많은 사람에게 도달하진 않는것 같다. 검색해보진 않았으나 트레 레체 같은 경우도 인스타에 관련 포스팅이 더 많을 것이다. 인스타는 인증샷이 많은 편이라 정보가 필요할 땐 구글링을 하긴 하지만 광고글이나 쓸모없는 내용이 많아 일부 검색의 경우 인스타가 정확도가 높긴 하다. 모바일의 경우 인스타가 더 편하기도 하다. 요즘 10대 20대중에는 PC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더 많은 경우가 있다.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의 경우 컴퓨터의 대중화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더 빨라 일부는 스마트폰 사용이 더 편하다고 한다. 블로그(텍스트), 인스타(사진), 유튜브(동영상)에서 앞으로는 어디로 흐를지 궁금하다.  

 

어쨋든 서울 브루어리 다녀온 이야기를 해보자면 스모어 2pc는 개꿀맛이다. 스모어 임페리얼스타우트가 나오면서 같이 페어링할 메뉴로 출시된걸로 알고 있는데 여전히 같이 팔고 있었다. 트레 레체랑 페어링해도 별 무리가 없어서 파는건지 아니면 상시메뉴로 파는건지는 모르겠다. 달달한 초콜릿이랑 마시멜로에 씁쌉싸름한 카카오빈, 피스타치오가 매력적이다. 단점으로는 깔끔하게 먹기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이 있다. 맛이 강한 편이라 일부 맥주랑을 잘 어울리진 않겠지만 가볍게 먹기 좋다. 

방문 당시(3월 어느날) 새로 출시된 맥주였는데 Tres leches란 케이크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고 한다. 트레스(3) 레체스(우유 복수형)이 아닌가 싶은데 왜 트레 레체라고 부르는지는 모르겠다. 케이크 자체도 3가지 우유가 들어간 3가지 층으로 나눠진 케이크라 트레스 레체스라 불리는것 같다. 시나몬, 버번에 적신 마다가스카르 바닐라빈, 유당 등이 들어간 blonde ale이라 소개되어 있는데, 마셔본 후기로는 블론드 에일인지는 모르겠다. 

.

블론드 에일은 깔끔하고 청량하면서도 살짝 프루티한 금빛색 라거 비슷한 맥주로 기억하고 마셔본 맥주만 여기 블로그에 검색해도 델리리움 트레멘스가 나오는데 트레 레체도 블론드 에일이라 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시나몬 향이 강하고 바닐라빈은 잘 모르겠고 꽤 단 편이었다. 지금은 배치가 달라졌을테니 마셧던 당시와 맛이 같을지는 모르겠다. 내 취향은 아니었다. 

 

델리리움 트레멘스(Delirium Tremens- Brouwerij Huyghe )

 

가까이 있으면서도 자주 가지는 않지만 가끔 생각나는게 서울브루어리의 매력인듯 싶다. 인스타보면 한남점에 런치메뉴도 시작했던데 합정에도 파는지 찾아봐야겠다. 


서울브루어리에서 새로운 임스가 출시됐다는 소식을 듣고 궁금해서 마시러 오랜만에 가봤다. 11일에 DIPA도 새로 나온다길래 DIPA 나오면 갈까 했는데 어쩌다보니 그 전에 가보게 됐다. 왠지 DIPA는 양조된지 얼마 안되었을 때 마셔야 더 맛있을 것 같고 임스는 좀 있어도 괜찮을거 같아서 딱 계획적으로 11일이나 12일에 가려고 했는데 좀 아쉽긴 하다. 처음에 생겼을 때는 위치가 좀 애매한거 아닌가 생각했는데 요새는 정말 구석에 생기는 곳도 많아서 이정도면 위치가 매우 좋은 편이라 여겨진다. 한남동에도 2호점이 있다고는 들었는데 합정이 1호점이기도 하고 집에서 더 가깝기도 해서 아직 한남점은 가보지 못했다. 



생긴지 얼마 안되었을 때는 이 공간이 이런식으로 꾸며져 있진 않았는데 11월에 오랜만에 와보니 이렇게 꾸며져 있었다. 그때는 사람이 많아서 안쪽 테이블에 앉았는데 이번엔 궁금하기도 하고 밖이 더 조용하니 아늑해 보여서 밖에 앉아봤다. 음.. 캠핑온 느낌이 나기도 하고 어둑하고 조용해서 아늑한 느낌이 있긴 한데 너무 어두워서 메뉴판이랑 맥주, 음식이 잘 안보일 정도이고 난방이 빵빵하긴한데 살짝 춥기도 해서 겨울에는 그냥 안쪽 자리 앉는게 나을 것 같다. 맥주 주문하기도 살짝 불편하다. 


어쨌든 이번에 출시된 맥주의 이름은 스모어인데 스모어라는 이름의 음식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것 같다. 스모어는 크래커에 마시멜로와 초콜렛을 올려 캠프파이어할때 구워먹는 간식이라고 하는데 페어링 푸드로 같이 준비되어 있었다. 맥주에도 크래커, 바닐라, 마시멜로, 유당, 카카오닙스 등이 부재료로 들어갔다고 설명되어 있었다. 사실 서울브루어리 맥주를 몇 번 마셔봤는데 약간 캐릭터가 강하지 않고 라이트 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임페리얼 스타우트도 크게 기대 안했는데 기대 이상으로 맛있었다. 도수가 10도 정도 됐는데 알콜부즈도 없었고 질감도 크리미 하니 진짜 임페리얼 스타우트를 먹는 느낌이었다. 물론 해외 브루어리 유명 임스만큼은 아니지만 국내 브루어리에서 임페리얼 스타우트 마셔본것 중에는 이게 제일 맛있는 것 같다. 나는 좀 더 찐하고 쫀득한 임스를 더 좋아하긴 하지만 이건 마시기 편하게 좀 순한 맛을 의도한 것 같다. 알콜부즈도 없고 드라이한 편이다. 커피향과 초콜릿 향이 좋다. 


같이 주문한 스모어도 생각보다 엄청 맛있었다. 서울브루어리 안주가 좀 헤비한게 많은데 이렇게 가벼운 안주들도 있으면 좋겠다. 초리소나 올리브나 크림치즈 같은. 키슈는 별로 맛이 없었다. 온어락이라는 곳에서 만든 크래프트 소다도 판매하고 있엇는데 이것도 맛있었다. 연남동인가 연희동에 있던데 기회되면 가보고 싶다. 


맛이 어떤지 궁금해서 찾아보는데 인스타에밖에 후기가 없어서 내가 블로그에 올려버리기로 했다. 이제 시간이 지나면 유튜브에서 검색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