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appd 3.79/5 RB 3.68/5 ABV 7.0% 


심코&아마릴로 홉을 사용한 IPA. 맛있으나 원래 스톤 IPA는 맛있다.  


스톤 브루어리 Hop Worship Series의 세 번째로 출시된 맥주이다. 홉-숭배 시리즈로 한정판으로 출시되는데 스톤 브루어리 IPA를 좋아하라 해서 그냥 골랐는데 이 맥주였다. Amarillo와 Simcoe 홉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 두 홉은 90년대말고 2000년대 초에 재배되기 시작했지만 하도 사용되어서 약간 레트로 취급을 당한다고 설명해놨다. Amarillo향은 잘 모르겠고 숲인지 풀같은 향의 심코홉의 존재감은 확실히 뚜렷하다. 다행이 신선한 맥주였는데 18년 10월 16일 캔입이었다.  


홉-시리즈 답게 캔을 따자마자 홉향 가득하다. 마시면 쌉싸름하지만 끝맛은 깔끔하다. 히비스커스 아로마와 맛이 느껴진다고 하는데 솔직히 잘 모르겠다.  신선하고 홉홉하게 잘 마셨으나 흔한 맛있는 스톤 IPA인듯싶다. IPA는 어느정도 다 비슷해서 다들 람빅이나 BA 임스에 열광하는건가 싶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요즘엔 은은한 맥주가 좋다. 


BA 4.04/5 RB 3.79/5 ABV 9.1% IBU 81 Stlye DIPA 


제조일자 18년 7월 21일의 신선한 IPA라 그런지 홉 향부터가 상큼 터졌다. 오렌지, 파인애플 향이 감지되고 전반적으로 시트러스 향이 메인인 홉향인데 탄산감도 꽤 있고 바디감도 꽤 있다. 바디감이 꽤 있다 했더니 오트밀이 재료로 들어가 있다. 


18년도 스포트라이트 시리즈 컨테스트(매년 2명이 팀을 이뤄 하는 스톤 내부 경연대회인듯)의 우승맥주라고 하는데 헤이지 하지 않아도 쥬시할 수 있다고 증명하듯 내세우는 맥주이기도 하다.  쥬시하고 헤이지한 NE 스타일 IPA만 유행처럼 너도나도 찾아대는게 마음에 들지 않은 모양인데 THE NO HAZE DOUBLE IPA라니 재밌다. ㅎㅎ


충분히 호피하고 맛있는 맥주이지만 헤이지하고 쥬시한 맥주랑은 조금 다르긴 하다. 그래도 밸런스가 좋고 마음에 드는 맥주이다. 좀 비싸다는점이 조금 아쉽다. 도수는 높지만 알콜을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DIPA이지만 쥬시함을 내세운 맥주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비터도 강하지 않다. 그나저나 스톤 홈페이지에서 브루어 인터뷰 영상을 봤는데 컴페티션 우승하고 22주년 맥주로 나온 것을 기뻐하는 모습에 나도 왠지 기분이 좋아졌다. 


스톤 인조이 바이 07.04.18(Stone Enjoy By 07.04.18 Unfiltered IPA)



UNTAPPD 4.03/5 ABV 9.4% IBU 90 Style DIPA


5월 29일에 캔입된 IPA를 마시다니 캔을 따기도 전에 설렜다. DIPA라 씁쓸함은 느껴지고 전반적으로 묵직하지만 그걸 떠나서 상큼 신선함이 밀려 들어온다. 홉의 쓴맛만큼 홉 단맛도 강하고 시트러스한 홉향도 강하다. 솔향과 풀향도 강한 편이고 몰티하고 홉 캐릭터도 강해서 밸런스가 좋다기 보다는 '나는 DIPA야' 라고 말하는 듯한 맥주이지만 캔입일을 눈으로 봐서 그런지 신선함이 터지는 느낌이다. 


Enjoy by 07.04.18은 18년 7월 4일 이전에 마셔야 IPA의 호피함을 제대로 즐길 수 있다는 뜻인 것 같은데 다행히 그 전에 마신 것 같다. 도수가 높기도 하고 캐릭터도 강한 편인데 맥주 컨셉도 재미있는 것 같다. 세브도르에서 샀는데 가격은 기억이 안난다. 하지만 비행기로 운송되는 만큼 싸진 않았던거로 기억한다.. ㅎㅎ 우리나라 크래프트 브루어리 화이팅! 


파운더스-브랙퍼스트 스타우트(Founders Breakfast Stout)



RB 4.15/5 BA 4.51/5 ABV 8.3% IBU 60 Stlye Imperial Stout)


정말 유명한 임스중에 하나인데 어쩌다보니 이제서야 마시게 되었다. 저런 평점을 본적이 있나 싶을정도로 평점도 높은데 평점과 내취향과는 큰 연관이 없긴 하지만 마시기전에 이래저래 기대가 되었다. 


부재료로는 코코아랑 커피원두 오트밀을 사용했다. 마시면 커피향이 강하게 올라오는데 생각했던 것보다 찐득하거나 달지는 않았다. 도수도 그렇게 높은 것 같지 않고 묵직하긴 했으나 오트밀을 사용했음에도 생각보다는 가벼운 스타일이었다. 초콜릿향이 나긴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커피향이 더 두드러지는것 같았다. 


사실 임페리얼 스타우트는 배럴에이징도 많이 하고 강한 캐릭터의 맥주들이 많은데 상대적으로 브랙퍼스트 스타우트는 얌전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약간 할리우드 영화를 보다가 영화에 관심을 갖고 평점 높은 고전을 봤을때 느껴지던 심심함 같은 느낌이랄까. 하지만 영화를 보면 고전이 주는 매력이 뭔지 알게 되듯 캐릭터 강한 맥주들만 찾다가 다시 얌전한 맥주들로 취향이 돌아오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쓰면 브랙퍼스트 스타우트가 밋밋해 보이지만 사실 그렇게 평범한 스타일은 아니다. ㅎㅎ


자기전에 맥주 한 잔 하는 느낌으로 한 병을 까서 다 마셨는데 생각보다 무거워서 당황했다. 주말에 늦은 오후쯤 일어나서 낮술로 마시고 낮잠이나 자면 딱 좋을 것 같다. 


식스포인트 3빈즈(Sixpoint 3Beans - Barrel Aged)



RB 3.74/5 Untappd 4.07/5 ABV 10% Stlye 발틱 포터


버번배럴 에이징한 발틱 포터인데 BA 치고는 가격이 비싼편은 아니다. 발틱포터는 발트해 연안국들이 영국의 포터를 모방하여 만든 포터 스타일을 말하는데 높은 도수가 특징이고 낮은 온도에서 발효가 유리한 하면발효로 만든 것이 특징.   부재료로는 커피추출물이랑 코코아빈이 들어갔는데 마시기 전에도 예측할 수 있듯 커피향과 초콜릿향이 난다.


3beans는 Romano beans와 Cacao Benas Coffee beans 즉 3개의 빈에서 온거로 보이는데 로마노 빈은 매쉬에 넣어서 단백질이 바디감을 더해준다고 설명되어 있다. 카카오 빈은  Mast Brothers Chocolate에서, 커피 빈은 Stumptown Coffee 에서 구했다고 하는데 핸몰이 커피리브레 원두를 사용해 맥주를 만든 것과 같이 일종의 콜라보인 것 같다. 


버번 캐릭터는 생각보다 강하지 않앗고 풀바디라기 보다는 미디엄바디에 가까웠다. 마실만 했지만 캐릭터가 강하지 않고 평범하다는 느낌은 받았다. 끝맛은 살짝이 상쾌함까지 받았는데 덕분에 여름날에 마시기는 수월했지만 특유의 꾸덕함을 기대했기에 약간은 아쉬웠다. 


드몰렌 비어 앤 빈드(De Molen Weer & Wind)



RB 4.04/5 BA 4.14/5 ABV 12.4% IBU 28 Stlye Barley Wine


발리와인으로 스타일이 분류되었는데 발리와인은 고도수의 에일로 어두운 색상과 묵직함이 특징인데 색상과 도수가 보리로 만든 와인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드몰렌 비어 앤 빈드 도수도 실제 12.4%로 꽤 높은 편이고 발리와인 대부분이 도수가 10%가 넘어간다고 한다. 버번 위스키 배럴에 에이징을 했는데 버번 위스키는 옥수수를 주 재료로 하는 위스키의 종류이다. 


드몰렌 브루어리는 네델란드 브루어리인데 드 몰렌은 풍차라는 뜻이라고 한다. Weer&Wind는 Weather and wind라는 뜻이라는데 뒷 라벨에 의하면 궂은 날씨라는 뜻이라고 한다. 네델란드어는 W를 ㅂ으로 발음하는 것 같다. 


라벨도 흥미로운데 심플하면서도 읽어보면 꽤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Plato까지 나와있는데 Plato는 발효되기 전 맥즙의 당 농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총 질량 중 당분의 함량을 나타낸다고 한다. 과일에 주로 사용되는 브릭스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하는데 Alcohol by Volume, 1볼륨당 들어있는 알콜 함량을 뜻하는 ABV와는 다른 개념이다. 효모가 당을 먹고 알콜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플라토와 알콜 도수는 비례할 수 밖에 없고 대충 계산하는 방법은 Plato에 2.4를 나누면 도수가 나온다고 하는데 이 맥주는 BA때문인지 Plato 27에 도수 12.4가 나왔다. 사실 크게 중요한 개념은 아닌데 체코와 중국은 특이하게도 플라토를 사용한다고 한다. 


잔에 따르면 달짝지근한 향이 먼저 올라온다. 마시면 위스키 향도 같이 올라오는데 생각보다 강하진 않다. 건포도와 같은 검붉은 과일 향이 나는데 흔하지 않고 약간 독특하다. 전반적으로 달지만 끝까지 질리지 않고 맛있게 마셨다. 알콜은 강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배럴에서의 숙성 덕분인지 흔한 맛은 아니고 독특한 캐릭터가 느껴져 즐거웠지만 딱히 내 스타일은 아니고 가격도 꽤 있어 즐겨 마시진 않을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