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B 3.88/5 BA 4.31/5 Stlye Lambic ABV 6.4% 


쨍한 신맛의 크릭. 과일향의 잔향이 좋다.  


지난번에 오드 괴즈 살때 같이 샀던 삼분수 크릭이다. 직접 처음부터 생산하지 않고 근처의 람빅 양조장 3곳에서 람빅을 공수해와 블렌딩하여 맥주를 만드는데 요새는 자체 양조도 하는 것 같다. 전에 먹은 오드 괴즈와 마찬가지로 6:4로 보리맥아와 발아되지 않은 밀로 만들었다고 나온다. 3분수 크릭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들기 때문에 색이나 향을 더하기 위해 첨가물을 넣거나 설탕을 넣지 않는다. 영람빅에 체리를 넣고 6-8개월 정도 숙성 시킨 후 4개월 정도 따뜻한 방에서 자연탄산화를 시킨다고 한다. 


17년 12월 15일에 병입한 상대적으로 따끈따끈한 크릭이었는데 그래서인지 쨍한 맛이 강했다. 쿰쿰한 맛이 살짝 나긴 했으나 브렛 캐릭터의 펑키함은 강하지 않았다. 좋게 말하면 깔끔하고 청량한 느낌이고 나쁘게 보면 조금 심심한 맛이다.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맛은 있는데 가성비가 좋은것 같진 않다. 수입이 되어서 그렇겠지만 뭐 체리를 넣은 람빅이니 체리도 안나는 우리나라에서 만들기 어려울 것을 고려해본다면 막 억울한 가격은 아닐지도,,? 


마실때는 쨍한 신맛이 두드러지고 체리는 어디있나 싶지만 마시고 나면 끝맛에 자연스럽게 남는 과일향이 좋다. 설탕을 첨가하거나 과일향을 첨가한 맥주나 음료에서는 느낄수 없는(기분탓일수도 있음) 자연스러운 잔향이 좋다. 



RB 4.0/5 BA 4.4/5 Stlye 람빅-괴즈 ABV 5.3% 


마셔보고 싶었던 3분수 오드 괴즈를 375ml로 팔길래 한 병 사왔다. 처음엔 IPA에 빠져 맥주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 다음엔 임스를 좋아라 했는데 요새는 람빅이 좋은 것 같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3분수를 다 마셔봤겠지만 덕력이 부족하여 이제서야 마시게 되었다. 이 맥주는 주변 람빅 양조장에서 람빅을 받아다가 블렌딩한 맥주로 알고 있는데 3분수 자체 양조장에서 생산된 괴즈도 수입된 것 같았다. 가격이 꽤 차이나 그냥 이거 사왔는데 두병 사서 쉐어하며 맛을 비교해봐도 좋을 것 같다. 아 댓병(750ml) 짜리도 들어왔는데 아무래도 큰 병쪽이 더 맛있지 않을까 싶고 맛이 비슷해도 더 맛있게 느껴질 확률이 크다. ㅎ


괴즈는 영람빅과 올드람빅을 블렌딩하는 람빅 스타일, 오드(Oude)는 오래되었다는 뜻으로 설탕을 첨가하지 않은 전통(Traditioanl) 방식으로 만들었다는 뜻이다. 3분수 오드 괴즈는 6:4로 보리맥아와 발아되지 않는 밀로 만들었다고 한다. 언필터드 이기때문에 아래 효모가 가라앉아 있는데 이걸 어떻게 따라야하나, 바이젠처럼 끝에 섞어서 따라줘야하나 고민했는데 대부분의 고민이 그렇듯 무의미했다. 마개를 열자 기포가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섞였다. 


향을 맡으면 과일 풋내와 쿰쿰함이 느껴지는데 마시면 신맛이 강하게 치고 올라오고 자잘한 탄산이 감지된다. 마시고 나면 젖은가죽, 헛간 향이 은은하게 남는다. 사실 젖은 가죽, 헛간향은 우리나라와 맞는 묘사는 아닌것 같다.(아파트 베란다향 이러면 감이 잘올텐데..) 완전 신김치나 숙성된 홍어에서 느껴지는 꼬릿함도 느껴지는데 이건 브렛 말고 젖산균 때문이려나. 마시기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브렛 캐릭터는 강하지 않았고 산미는 강했는데 음식이랑 먹기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물론 나는 처음마셔보는거라 맥주만 마셨지만...) 17년 10월 30일 병입된 맥주를 마셔서 그런지 조금 더 쨍한 느낌이 있던것 같다. 좀더 숙성된 맥주를 마셔보면 좋으련만 그때까지 기다릴 수 있을리가...^^


냉장고 안쪽에 쳐박혀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온에 보관된 것 같다. 경험상 좋은 람빅들은 차게 마시는것보다 온도를 좀 높여 마시는게 나은 것 같다. 차게 먹으면 잡미도 없지만 좋은 향도 죽는다. 람빅 마시면서 매번 하는 생각이지만 벨기에 람빅 양조장들은 꼭 가보고 싶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