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마신 신례명주에 이어 이번에 귀감을 마셔봤다. 귀감은 귀한감귤을 줄인 말로 도수가 25도인데 도수가 50도인 신례명주가 부담스럽다면 도전해볼만한 술이다. 가격은 2만5천원 정도인데 전통주는 인터넷 통신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쉽게 주문할 수 있다. 동네 이마트에서 신례명주 미니어처로 마셔보고 마음에 들면 귀감도 마셔보길 추천한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신례명주와 귀감 모두 만족스럽지 못했으나 그렇다고 아예 맛이 없는 술은 아니다. 귀감은 신례명주에 물을 희석한 맛인데 개인적으로는 신례명주가 더 나았다. 감귤소주로 소개되는 것 같은데 감귤 발효주를 증류한 것이니 소주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소주는 태워만든 술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소주가 곡물을 발효한 술을 증류한 곡물증류주의 뜻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원래는 증류주라는 뜻인것 같다. 그러니 감귤소주도 틀린말은 아닌것 같다. 맛도, 개념도 감귤소주라는 소개가 귀감을 직관적으로 잘 소개해 주는듯 하다. 


재료는 감귤과즙, 정제수, 효모, 설탕, 스테비올배당체, 무수아황산(산화방지제) 등이 들어간다. 신례명주와 물을 1:1 비율로 희석했을 것이라는 추측과는 달리 희석에 따른 맛 보정을 한 것 같다. 맛은 신례명주를 마셨을때와 비슷하다. 오크향과 알콜향이 강하고 단맛이 느껴진다. 스트레이트로 마셨는데 맛이 날카로워 온더락으로 마시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마실만 한데 굳이 챙겨 마실만한 매력은 잘 모르겠다.' 같이 나눠마신 지인들의 평인데 나도 공감한다. 맛 자체는 신례명주가 더 나았는데 확실히 도수가 낮으니 한식에 반주로 같이 곁들이기는 귀감이 더 부담이 없는 것 같다. 리뷰가 혹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걱정스러운데 개인적인 평일 뿐이고 전통주가 더욱 발전하길 바란다. 출시된지 얼마되지 않은 술이니 완성된 맛이 아닐거라 생각되며 더 나은 방향이 있다면 발전해 나가길 바란다. 



평소엔 주로 맥주를 마시지만 오늘은 전통주 리뷰를 남겨본다. 사실 밖에서 같이 마시는 술은 리뷰할 정신도 없어서 기록으로 남기지 않는 편이고 집에서 마시기에는 도수도 가격도 맥주가 적당해서 맥주 리뷰만 남는것 같다. 와인이나 막걸리는 도수는 좋은데 한번 따면 보관할수가 없어서 적합하진 않고 위스키랑 브랜디는 가끔 마시긴 하지만 비싸고 도수가 높아서 좀 부담스럽다. 맥주가 따고 한번에 다 마셔버리기 좋으면서도 스타일도 다양해서 딱이긴 한데 다른술도 좋다. 신례명주에 대한 소개글을 우연히 보고 제주도 감귤 증류주, 일품진로를 만든 양조사가 양조 이 키워드에 솔깃해서 구매하게 되었다. 귀감이라는 25도인가 20도 짜리 술도 같이 샀는데 이건 혼자 먹기에 양이 애매해서 나중에 같이 마실 생각이다. 


어쨌든 신례명주는 감귤을 원료로 발효시켜 증류한 브랜디이다. 도수는 50도이고 첨가물은 없고 발효 후 오크통에 장기 숙성한다고 한다. 큰 병으로도 팔지만 시음도 안하고 큰 병을 사기엔 쫄보라.. 미니어쳐를 구매했다. 미니어처 100ml에 7-8천원 정도이다. 인터넷으로 구매했는데 저번에 이마트에 맥주사다 보니까 이마트에도 팔고 있었다^^ 인터넷으로 시키면 배송료 5000원이다. 


꼬냑에도 포도향을 잘 못 맡아서 그런지 신례명주에서도 귤향은 잘 모르겠다. 달달한 향이 나긴 하는데 오크통 숙성때문인지 나무향과 알콜향이 더 강하게 난다. 질감이 부드럽고 바디감이 있는편이라 그런지 달다는 느낌도 난다. 브랜디를 많이 안마셔봐서 이 가격에 이정도면 맛있는건지 잘 모르겠다. 그럭저럭 맛있게 마시긴 했는데 알콜향이 강해서 다시 구매할지는 잘 모르겠다. 


전통주 브랜드들 하나하나의 브랜드 인지도가 약하다 보니 종종 전통주로 묶여서 소비되는 것 같다. 신례명주도 전통주 말고 그냥 신례명주로 사랑받았으면 좋겠는데 문정훈 서울대 교수의 페이스북 글에 따르면 신례명주를 만든 시트러스라는 농업법인 회사의 재무상황이 좋지 않다고 한다. 전통주는 온라인 판매가 가능하긴 하지만 역시 판매가 쉽지 않은 모양이다. 제주맥주도 좋긴 한데 제주에서 나는 감귤로 만든 신례명주 같은 술이 더 제주다운 술인것 같은데 아쉽다. 잘 팔리지 않는 이유는 맛이 없어서가 아닌 가격이 비싸서에 더 가까운것 같아 나도 해결책을 모르겠다. 양꼬치나 중국음식을 먹을때는 조금 비비싸도 고량주를 시키는것처럼 전통주에도 푸드 페어링이 필요한게 아닐까? 당장 신례명주를 어떤 한식이랑 먹으면 좋을지 잘 떠오르지가 않는다. 뭐 아무쪼록 지역색을 많이 담은 술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