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 중이었는데 갑자기 맥주가 먹고싶은 일이 있어

편의점에서 4캔 만 원에 사왔다. 

 

솔직히 몇 달 전만해도 편의점맥주

딱히 마실게 없었는데

오랜만에 가보니 라인업이 다양해져서 놀랐다. 

 

제주 슬라이스

홉하우스 13

구스 IPA

구스아일랜드 윗비어(이름기억안남)

 

4캔에 만 원 사왔다. 

 

이 중 추천할만한 맥주는

제주 슬라이스랑 홉하우스13

 

제주맥주 제주 슬라이스

 

패션후르츠가 3.4% 함유되어있다는데 펠롱에일이랑 그 위트에일인가랑 느낌이 달라서 진짜 제주맥주에서 나온건지 갸우뚱했다. 맥주 스타일이 뭔지는 보통 써있기 마련인데 그냥 패션 푸르트 에일이라고만 써있다. 솔직히 기대 하나도 안했는데 반전으로 의외로 맛있었다.

 

알코올도 4.1%인데다가 라벨부터 컨셉까지 대중적인 맥주임을 알 수 있는데 맛도 대중적이다. 끝은 깔끔하게 떨어지고 패션후르츠 향도 강한 편이다. 산미도 약하게 있고 탄산감도 있어서 청량하고 깔끔하게 마시기 좋다. 근데 맥주라고 하기엔 너무 가벼워서살펴보니 식품 유형이 기타주류로 되어있다.

 

필라이트나 필굿처럼 맥아함량이 낮아서 기타주류가 된건지 패션푸르트(과일) 함량이 높아서 기타주류가 된 건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맥주 스타일을 표기하지 않은건가? 뭐 어쨌거나 2500원에 이정도 맛이면 매우 만족스럽고 봄여름 제주에서 마시기 좋을것 같다. 잘은 모르지만 기타주류가 주세가 낮아 4캔 만 원이 가능한게 아닌가 싶다. 발포주 극혐하는 맥덕들이 있는건 알지만 미안하게도 난 발포주 좋아하는 편이다.

 

다만 아쉬운건 제주산 재료쓴다고 이름도 제주맥주에 양조장도 제주도에 지어놓고 맥아 덴마크산 패션후르츠 베트남산 밀맥아 독일산 홉 미국산은 좀... 내부 사정은 모르지만 이 맥주는 제주맥주가 추구했던 브랜드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것 같다. 

 

어쨌거나 가격대비 추천 

 

홉하우스13

 

디아지오 코리아에서 나온 맥주인데 기네스도 만드는 곳이다. 

아일랜드에서 양조되었단느걸 보면 기네스 만드는 곳에서 같이 만드는 것이 아닐까 싶다. 

이름처럼 호피하면서도 청량한 라거이다. 

 

편의점 4캔 만 원 맥주들 중에 솔직히

어디서 나오는건지도 모르겠는

근본없는 맥주들도 많은데 

종류가 너무 많아 고민될 때 고르길 추천하다. 

너무 무겁지도 않고 그렇다고 막 뻔하지도 않다. 

 

이것도 추천 

 

 

 

다시 금주모드로 돌아가겠지만

오랜만에 들른 편의점에서 만난 맥주들이 

상향 평준화되어 좀 놀랐다. 

바틀샵이랑 펍들은 어떨지 좀 궁금하지만

일단 금주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746638

 

위기의 국내 수제맥주, 점점 커지는 실적 손실…“종량세 안되면 문 닫을 판”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의 열기 속에 국내 시장에 뿌리내린 수제맥주(크래프트) 업체들이 최악의 경영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이미 1세대 수제맥주(하

www.etoday.co.kr

국내 수제맥주 2018년 실적을 리뷰하는 기사인데 생각보다 매출 규모가 낮다. 

 

요즘 화제가 되는 임블리 호박즙 매출액만 26억이라고 하는데(지난해 4월부터 판매이니 1년 매출로 봐도 될듯)

 

플래티넘 2018년 매출이 23억이다. 

 

이번 사건으로 임블리를 처음 들어보는 사람처럼 누군가에겐 카브루니 플래티넘이니 처음 들어보는 브랜드일거다.

 

주변만 보면 다 아이폰 쓰고 크래프트 맥주에 관심이 많아보이지만 표본 오류이다. 

 

아직 수제맥주 시장은 생각보다 정말 작아 보인다. 

 

 

 

더부스 콜드체인은 더부스의 맥주 수입 부문인데 더부스 전체의 적자폭이 생각보다 크다.

 
제주맥주, 플래티넘은 매출 성장세가 인상적이다. 

 
국내 맥주 점유율 1위인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 롯데주류의 영업이익을 비교해보면


맥주쪽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 수익이 급상승하는 구조인듯 싶다.

 
수제맥주 업체들이 마케팅비에 돈을 태우는 이유도 그 때문인것 같은데


가정용 맥주에서 다양한 맥주에대한 수요는 늘겠지만


4캔에 만 원 이하로 떨어진 수입맥주보다 국산수제맥주를 살 유인이 있나싶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19/2019041900055.html

 

못찾겠다, 국산 맥주

서울 광화문 파이낸스센터(SFC) 지하 2층에 있는 한 편의점은 지난달 초부터 아사히·칭타오·기네스 등 수입 맥주 4캔을 평일 퇴근 시간인 오후..

biz.chosun.com

4캔에 만원이던 수입맥주가 이제는 만 원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는 기사이다. 

 

4캔에 8,800원에 팔고 있다는데 이정도 가격이면 슈퍼에서 사는 국산맥주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굉장히 안정적이면서도 경쟁이 치열한 산업이다.  


수제맥주는 시장의 크기에 충분히 커지기 전에 너무 핫해져버린것 같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다.  


지금이 거품이라도 나쁠건 없고 거품이 꺼지더라도 진짜들은 남게 돼있다. 

수제맥주가 유행인건 알았지만 신도림에도 브루펍이 있을거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보통 양조를 직접 하는 경우는 드물고 다른 브루어리에서 양조된 맥주를 파는 경우는 많이 봤는데 여기는 직접 양조한 맥주를 판매한다. 위치는 신도림역에서 약간 거리가 있긴 하지만 가까운 편이다. 거리 하나를 두고 양쪽으로 꽤 큰 규모로 2개의 펍이 있다. 이름이 개돼지 크래프트 브루펍으로 상당히 강렬한 편인데 이름이 개돼지펍인 이유는 잘 모르겠다. '개돼지 망언'으로 개돼지 하면 부정적인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는것 같은데 도그앤피그펍이라고 듣고 귀여운 로고도 보고나니 나름 귀여운 이름같기도 하다. 2개의 펍 중 본점으로 갔는데 1층에는 몰트가 쌓여 있고 몰트 특유의 고소한 냄새가 풍겼다. 브루펍이라고 해도 몰트의 당화과정에서 나는 달큰한 냄새가 나는 경우는 드문데 이곳은 특이한 편인것 같다. 물론 향은 좋았다. 



2층에는 사람들이 꽤 많았는데 수제맥주랑 피자가 유명해 보였고 기타 다른 음식메뉴들도 있었다. 맥주 가격대도 저렴한 편이고 맥주 스타일도 대중적인 스타일이다. 브롱스랑 비슷한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신도림에 이렇게 큰 규모로 펍을 운영하려면 맥덕들이나 마실만한 특이한 맥주보다는 대중적인 맥주를 팔수밖에 없을거 같기도 하다. 맥주 가격이 비싸지 않아 이것 저것 시켜보긴 했는데 맛도 브롱스랑 비슷했다. 그러고보면 백종원이 백스비어 말고 수제맥주펍 하나 차리면 브롱스 뺨치게 대중적인 수제맥주 브랜드 하나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왜 안 만드나 궁금하다. 아무튼 여기 맥주는 수제맥주를 처음 마셔보는 사람이라면 맛있게 마실것 같은데 나에게는 다소 평범한 맛이었다. 



여기는 브루펍이라 피자 칭찬하기 미안하지만 맥주보다 피자가 훨씬 맛있었다. 더부스나 맥파이 같은 느낌이랄까. 아무튼 여기는 피자 맛집이다. 가격도 그렇게 비싸지 않았고 다른 종류의 피자도 맛있었다. 맥주는 브롱스나 별 차이가 없었지만 피자는 브롱스 피자보다 여기가 더 맛있다. 전반적으로 찾아서 올만한 곳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지나가다 보인다면 가볍게 피자 먹으면서 맥주 한 잔 하기 좋은 곳 같다. 특히나 뭔가 있을것도 같은데 막상 별거 없는 신도림에서 가기엔 딱 좋은 곳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