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바오바 생긴지 얼마 안됐을 때 오고 오랜만에 다시 바오바에 찾아갔다. 맛이 없어서 오지 않았던게 아니라 시간이 좀 지나니 웨이팅이 너무 길어져서 안가게 되었는데 이제 시간이 좀 지났으니 웨이팅이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다시 찾았다. 예전에는 몇십분씩 기다려서 먹기도 했는데 이제는 10-15분 이상은 기다리지 않게 되는 것 같다. 여행가서도 다시 못올거 같으니 볼거 다보고 오자는 마음가짐 보다는 또 오겠지라는 마음가짐으로 여유롭게 다니는게 좋은 것 같다. 맛집 찾아다니는것도 좋지만 다른 맛있는 것도 많으니 너무 오래기다리는것 보다는 웨이팅 없었으면 안 갔을 식당 한 번 가보는게 더 나은 것 같다. 



웨이팅 없는 건 좋았는데 손님이 너무 없어서 의아했다. 가게가 큰 편은 아니었지만 2팀 정도 있는 상태에서 우리가 들어갔다. 이날만 없었는지 요새 이런건지는 잘 모르겠다. 메뉴는 전에 바오는 다 먹어보고 파스타랑 샐러드 먹어본 것 같은데 신메뉴가 몇 개 추가된것 같다. 먹고 다른데로 가서 또 먹으려고 간단히 바오랑 동파육 파스타를 주문했다. 참 맛있게는 생겼는데 맛은 의외로 평범했다. 동파육도 맛있고 청경채도 맛있고 각 재료들은 다 맛있었는데 합쳐 놓으니 약간 애매했다. 간이 강하지 않고 파스타는 면이 주인공인데 면의 존재감도 약했다. 아예 면을 빼고 동파육으로 다른 메뉴를 만드는 것도 괜찮아 보였다. 



바오는 트러플 바오랑 동파육 바오 하나씩 시켰는데 역시나 맛있었다. 손님이 없어 맛이 변한게 아닐까 걱정했는데 바오는 여전히 맛있었다. 몇 번 와보고 느끼는 거지만 여기는 바오가 제일 맛있는 것 같다. 종류가 많지 않은게 아쉬운데 번도 맛있고 맛도 기대한 만큼 맛있다. 하이볼은 가격이 저렴해서 시켰는데 괜찮았다. 메뉴들이 대만식 요리라고 하는데 대만을 안가봐서... 어쨌든 술이랑 잘 어울릴만한 메뉴들이다. 


음료 가격을 저렴하게 받는 곳이 있고 비싸게 받는 곳이 있는데 어떤 곳이 더 이윤이 남을까? 저렴하면 아무래도 더 시킬 것 같고 비싸면 덜 시킬 것 같은데 음료 준비에는 큰 노동이 들어가지 않으니 싸게 많이 파는게 이득일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가격대가 높은 식당에서는 음료 가격에는 상관없이 주문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가격대가 저렴한 식당은 주류를 가격대를 낮게 반대의 식당에서는 높게 잡는게 이익이 더 나지 않을까 싶다. 주류 말고 코카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의 가격대는 높이는게 이윤이 더 날 것 같다. 물 다음 탄산이라는 점, 가격대를 높여봐야 비싸지 않다는 점, 주류와의 가격차가 안난다면 주류 주문으로 돌릴 수 있단는 점을 고려하면 그러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이런 가정이 의미없는 이유는 아무리 뭐래도 음식이 맛있어서 손님이 많은 곳이 당연히 잘될 것 같다. 




이태원 한강진역 사이에 있어서 지나가면서 한 두번 먹은 벤스쿠키인데 브루독 갔다가 옆에 있어서 하나 사먹었다. 나는 서브웨이 쿠키도 맛있게 먹어서 쿠키가 거기서 거기지 라는 생각으로 시큰둥하게 먹었는데 생각보다 맛있었다. 가격이 좀 비싼편인데 맛있어서 납득이 간다. 영국에서 건너온 쿠키라고 하길래 외국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한국 쥬얼리브랜드처럼 그냥 한국 브랜드 아닌가 했는데 정말 영국에도 매장이 있는 글로벌한 브랜드였다. 아부다비부터 두바이, 방콕, 싱가폴, 도쿄, 뉴욕에 까지 매장이 있는데 확장력 무엇... 각 나라마다 매장수가 많지는 않은데 이게 다 관리가 가능한건가? 아니면 매뉴얼이 있어서 어느 나라에서나 일정한 맛을 낼 수 있는건지 궁금하다. 


우리나라는 쿠키문화라기 보다는 빵문화가 아닌가 싶다. 쿠키를 오븐에 구워먹지도 않고 일본식 단 빵이 많아서 쿠키보다는 빵을 먹고 그것도 아니면 과자를 먹는 것 같다. 뭐를 먹을 때 건강을 신경쓰며 먹는 추세라 달디단 쿠키가 요즘 추세에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꽤 장사는 잘 되는 것 같다. 쿠키류는 선물용 쿠키류만 남지 않을까 싶은데 앞으로 어찌될지 궁금하다. 결론은 쿠키는 맛있었고 굳이 찾아가서 또 먹진 않겠지만 지나가다 보이면 하나 사 먹을 것이다이다. 




이태원에 브루독 매장이 생긴건 알고 있었는데 자체 맥주도 없는데 뭐하러가나 라는 생각에(사실 진작 가보고 싶었으나 시간이 안됨) 못가고 있다가 첫 자체 양조 맥주가 온탭되었다길래 다녀왔다. 맥주 좀 마셨다 하는 사람중에 브루독 모르는 사람들은 없을텐데 스코틀랜드의 또라이 브루어리로 알려져 있는 것 같다. 내가 아는 건 맥주 도수 경쟁이 붙어서 40도 넘는 맥주까지 만든 일인데 이 일 말고도 많다. 여러모로 패기 넘쳤던 초창기에 비해 규모가 커진 지금은 얌전해 보이는 브루어리인데 우리나에도 맥주가 꽤 수입된다. 밸런스가 좋은 펑크 IPA같은 맥주는 여기저기서 보이는 듯.

 


이태원 지하철부터 사람이 넘쳐서 무슨 할로윈인줄 알았다. 지구촌 축제인가를 하는 날이었는데 사람이 정말 많았다. 너무 사람이 많아서 어지간한 푸드트럭엔 줄이 너무 길어서 줄이 짧다는 이유로 핸드앤몰트에서 맥주 한 잔 사서 브루독 가면서 마셨다. 브루독 이태원은 이태원역에서 한강진역으로 가는길에 있는데 이태원역 가까이에 있다. 대로변에 있기도 하고 위치는 정말 좋은편인데 오픈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인지 사람은 거의 없었다. 맥덕이 아닌 사람들에겐 브루독 인지도가 낮은지 외국인들이 반은 됐다. 



브루독 맥주들도 팔고 국내 브루어리 맥주도 온탭되어 있었다. 작은 사이즈, 중간 사이즈, 큰 사이즈로 사이즈가 다양해서 이 맥주, 저 맥주 시켜먹기엔 좋아 보였다. 다만 음식도 맥주도 가격은 좀 있는 편이다. 자리에 앉아서 주문해도 되고 카운터로 와서 주문해도 된다고 한다. 한쪽에선 바틀샵처럼 맥주 몇 종류를 팔고 있었는데 의외로 비싼편은 아닌 것 같았다. 




오늘 방문의 목적인 이태원 브루독 페일 에일 V1인데 배치마다 V2, V3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브루어리 304의 민성준씨가 브루독 헤드브루어로 왔다고 해서 살짝 기대하며 마셔봤다. 맥주는 시트러스향, 열대과일향의 호피하고 깔끔한 페일에일이었다. 크게 인상적이진 않았지만 맛있게 잘 마셨다. 지금은 맥덕들과 외국인들이 주로 찾는 것 같지만 매장 크기가 크기 때문에 대중적인 라인업을 구축하고 특색있는 맥주들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앞으로 쭉쭉 다양한 스타일이 나왔으면 좋겠다. 그나저나 실내가 너무 어두워서 취하면 메뉴판 안보일듯. 



와일드 웨이브 브렛 세종도 시켰는데 이게 중간 사이즈 페일에일이 L사이즈다. 펑키한 맥주였는데 은은함따윈 없이 대놓고 쿱쿱하고 좋았다. 브렛캐릭터와 세종캐릭터가 살아있는 직관적인 이름의 맥주였다. 



버거랑 버팔로윙을 시켰는데 버거는 페일에일이랑 세트메뉴로 있는 메뉴였다. 정확히 이름은 기억 안난다. 프렌치 프라이가 맛있어서 만족스러웠고 버거는 맛있는 편이다. 캘리키친 버거가 더 맛있긴 하다. 조명도 어둡고 패티도 딱딱한 편이라 잘라 먹기가 쉽지 않다. 쉐어해서 먹을 생각이라면 다른 메뉴가 나을 것 같다. 손으로 잡고 먹을 생각이거나 톱니칼질에 자신이 있다면 추천한다. 윙은 한국식 윙은 아니고 시큼한 외국에서 먹는 버팔로윙 맛이었다. 가격대비 만족스러웠다. 가볍게 맥주 마실때는 윙이나 프렌치프라이 시켜서 먹으면 될 것 같다.  



그렇게 사람 없던 탭퍼블릭도 이렇게 유명해진걸 보면 지금은 텅텅 빈 브루독도 조만간 사람이 많아질 것 같다. 브루독 이태원 지점이 아니라 '이태원 브루독' 만의 색이 있는 공간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 Recent posts